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임신 사전건강관리 지원 사업 지원대상 및 신청방법

by celli510 2025. 3. 3.

 

임신을 계획하고 계십니까? 또는 앞으로의 건강한 임신을 위해 미리 준비하고 싶으신가요? 그렇다면 2025년에 새롭게 확대된 임신 사전건강관리 지원사업에 대해 알아보세요 이번 포스팅을 통해 최신 정보를 상세하게 안내해 드리겠습니다.

 

▶ 임신 사전건강관리 지원사업이란?

임신 사전건강관리 지원사업은 가임기 남녀의 성·생식 건강을 증진하고, 임신·출산 시 발생할 수 있는 고위험 요인을 조기에 발견하여 건강한 임신과 출산을 지원하는 제도입니다. 특히, 2025년부터는 결혼 여부나 자녀 수와 관계없이 모든 20~49세 남녀에게 필수 가임력 검사비를 지원하여 더 많은 분들이 혜택을 받을 수 있게 되었습니다.

 

▶ 지원 대상 및 검사 항목

지원대상

20세부터 49세까지의 모든 남녀로, 결혼 여부나 자녀 수와 상관없이 가임력 검사를 희망하는 분들이라면 누구나 지원 가능합니다. 내국인 배우자를 둔 외국인도 지원 대상에 포함됩니다.

검사항목

  • 여성: 난소기능검사(AMH), 부인과 초음파
  • 남성: 정액검사(정자정밀형태검사)

이러한 검사를 통해 개인의 생식 건강상태를 정확하게 파악하고, 필요한 경우 조기에 적절한 조치를 취할 수 있습니다.

 

▶ 지원 금액 및 횟수

지원금액

  • 여성: 최대 13만 원
  • 남성: 최대 5만 원

지원 횟수

연령대별로 주기별 1회, 생애 최대 3회까지 지원됩니다.

  • 제1주기: 29세 이하
  • 제2주기: 30~34세
  • 제3주기: 35~49세

각 주기마다 한 번씩 지원을 받을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생애 총 3회의 검사를 지원받을 수 있습니다. 이러한 지원을 통해 개인의 생식 건강을 주기적으로 점검하고, 건강한 임신과 출산을 준비할 수 있습니다.

 

▶ 지원 신청 방법 및 절차

신청  대상  확인

20~49세의 남녀라면 누구나 신청 가능합니다. 결혼 여부와 관계없이 지원이 가능합니다. 자신의 건강상태를 점검하고 싶다면 꼭 신청해 보시길 바랍니다.

신청방법

온라인 또는 보건소 방문을 통해 신청할 수 있습니다.

  • 정부 공식 홈페이지에서 온라인 신청 가능
  • 가까운 보건소를 방문하여 직접 신청 가능

건강검진 예약 및 진행

신청 후 지정된 병원에서 검진을 받을 수 있습니다. 검사 비용은 건강보험 적용 후 본인 부담금이 지원됩니다.

검사 결과 확인

검사 후 결과를 확인하고, 필요시 상담 및 추가 조치를 받을 수 있습니다.

 

▶ 자주 묻는 질문 (FAQ)

Q1. 임신을 계획 중이 아닌데도 지원받을 수 있나요?

A1. 네 받을 수 있습니다. 이번 개정으로 인해 결혼 여부나 임신 계획 여부와 상관없이 생식 건강을 점검하고 싶은 분들은 누구나 신청이 가능합니다.

 

Q2. 온라인으로 신청하면 바로 검진을 받을 수 있나요?

A2. 온라인 신청 후 예약 절차를 거쳐야 하며, 검진을 받을 수 있는 병원 리스트를 제공받게 됩니다.

 

Q3. 지원금은 어디까지 적용되나요?

A3. 건강보험이 적용된 후 남은 본인 부담금을 최대 여성 13만 원, 남성 5만 원까지 지원합니다.

 

Q4. 검진은 꼭 보건소에서 받아야 하나요?

A4. 아닙니다. 지정된 산부인과 및 비뇨기과에서도 검진을 받을 수 있습니다.

 

Q5. 외국인도 지원받을 수 있나요?

A5. 가능합니다. 내국인 배우자가 있는 경우 외국인의 경우 지원 대상에 포함됩니다.

 

▶ 추가 정보 및 문의처

임신 사전건강관리 지원사업에 대한 추가 정보와 상담이 필요하시면 아래  기관을 참고하세요.

  • 보건복지부 콜센터: 129
  • 거주지 보건소: 보건소마다 지원 내용이 다를 수 있습니다. 가까운 보건소에 직접 문의해 보도록 하세요.
  • 정부지원사업 홈페이지: (https://www.mohw.go.kr/)\

 

▶ 마무리

건강한 임신과 출산을 위해서는 사전 건강관리가 매우 중요합니다. 이번 2025년 확대된 지원 정책을 통해 보다 많은 분들이 혜택을 받을 수 있으니, 놓치지 말고 꼭 신청해 보세요!